최근 갑작스러운 재난 알림 문자로 다소 놀랐는데요, 전북 장수군에서 진도 3.5도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알림이었습니다.
지진은 먼 나라의 일인 줄로만 알았는데 최근 한반도에서도 지진의 발생이 잦아졌습니다.
한반도에서는 지난 2023년 7월 한 달 동안 2도 이상의 지진이 무려 5회나 발생했습니다.
지진은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지진 발생 시 즉각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진 발생 시 안전을 위한 행동 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리 확인하고 숙지하여 대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물건이 떨어지는 것에 대비한 자세 취하기
실내에 있을 때 지진이 발생하면 사물이 낙하하는 것에 대비하여 안전한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내부 공간에 있다면 무릎을 굽히고 얼굴을 바닥 방향으로 숨기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테이블 밑, 책상 아래 등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조나 비상 탈출을 위한 준비
건물 내에 있다면 가능한 빠르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고, 엘리베이터 사용을 피하세요.
급격한 흔들림이 지속될 경우, 구조를 위해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비상 탈출구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자동차를 운전 중에 지진이 발생하면 가능한 빠르게 차를 길에서 멈추고, 사람들과 함께 주변에 건물이 없는 트인 공간으로 이동하세요.
이를 위해 주변 대피장소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변 환경 파악
지진 후에는 구조대를 기다리며, 위험 요소를 피해야 합니다.
무너지는 건물이나 전기선, 가스 파이프 등에 주의하여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세요.
이후 지진에 대비
지진 후에도 여러 번의 여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장소에서 여진이 종료될 때까지 머물러 있으세요.
긴급한 상황이나 다른 위험 요소를 파악하려면 라디오나 휴대폰을 이용하세요.
안전한 피난 장소 찾기
재해 발생 후에는 안전한 피난 장소를 찾아 피난하세요.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서 안전한 공간을 파악하여 대피하세요.
지진 발생 시 위의 행동 요령을 준비하고, 안전한 행동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위 상황을 파악하며 평소에 대비 훈련을 통해 비상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안전을 도모하는 길입니다.
※ 본 블로그 글은 지진 발생 시 안전을 위한 일반적인 행동 요령을 안내하는 것이며, 지진 상황에 따라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지진과 관련된 위험 상태는 각 지역의 지반 상태와 규모에 따라 달라지므로, 지진 대비 계획을 작성하고 지진 대비 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진 예방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이 필요한 경우 지역 지반 및 재난 관리 단체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글
'질병정보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I 지수(체질량 지수) : BMI 지수 계산 방법, BMI 지수 범위, BMI 관리 방법 (2) | 2023.08.29 |
---|---|
관절염 보조기구 : 관절염 보조기구 종류, 관절염 지팡이, 관절염 식사 (1) | 2023.08.28 |
물놀이 준비물 : 물놀이 주의 사항, 물놀이 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 (1) | 2023.08.08 |
여름 피로의 원인 : 증상과 해결 방법 (1) | 2023.08.07 |
에어컨 청소 방법 (1) | 2023.07.26 |
댓글